Wonhyo Realization Experience Center
수도사소개
수도사소개
- 수도사소개

대웅전(大雄殿)
임진왜란 때 불타서 뒤에 다시 중건하였는데, 1911년 다시 폐사가 되었다. 1960년대에는 최영석 스님이 절을 중찰하시면서 옛 절터에서 남쪽으로 100m 가량 자리를 옮겨와 현재의 절터를 중창하였다고 한다.
원래의 절터는 원정리 산 83번지로 현 대웅전에서 북쪽으로 약 100m 정도 떨어져 있다고 한다. 그곳에는 정토(淨土) 선원이 있었고, 1965년 이정암 스님이 전각을 부분적으로 수리하였으며, 선원 앞에서 석고로 높이 8m의 불상을 조성한 바 있고 근처에 석조부도가 있었다고 한다.
부도는 현재 수도사로 옮겨져 2001년까지만 해도 대웅전 축대 앞에서 기단석과 탑신석 및 옥개석이 넘어진 채 남아 있었으나 이후 사역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어디로 옮겼는지 찾을 길이 없다.
알 모양의 구형 탑신을 지닌 부도로서 조선시대 후기에 조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명부전(冥府殿)
현재 옛 절터에는 군 시설로서 LNG 저장시설이 들어가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사지는 약 300평 규모인데, 건물의 주춧 돌이 일부 남아있고, 수령 약 900년가량 되는 느티나무 한 그루와 옛 맷돌이 하나 남아 있다고 한다.
현재 수도사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명부전과 산신각, 템플스테이 전용관 (약사전) 전통사찰음식 학습체험관, 초가집, 2층 요사채가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사찰이 그러하듯이 전쟁과 도적떼로 절터만 남겨졌다가 뜻있는 스님 의지로 다시 창건되었으나 사람들의 무관심으로 명맥만 유지하던 중 전통 사찰음식을 하시는 적문 스님이 주지스님으로 오시면서 도량 정비와 적극적인 포교활동으로 수도사는 알려지고 있다.


명부전(冥府殿)
현재 옛 절터에는 군 시설로서 LNG 저장시설이 들어가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사지는 약 300평 규모인데, 건물의 주춧 돌이 일부 남아있고, 수령 약 900년가량 되는 느티나무 한 그루와 옛 맷돌이 하나 남아 있다고 한다.
현재 수도사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명부전과 산신각, 템플스테이 전용관 (약사전) 전통사찰음식 학습체험관, 초가집, 2층 요사채가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사찰이 그러하듯이 전쟁과 도적떼로 절터만 남겨졌다가 뜻있는 스님 의지로 다시 창건되었으나 사람들의 무관심으로 명맥만 유지하던 중 전통 사찰음식을 하시는 적문 스님이 주지스님으로 오시면서 도량 정비와 적극적인 포교활동으로 수도사는 알려지고 있다.
